본문 바로가기
관심사 이모저모

수출용 컨테이너 종류별 제원 및 작업시 유의사항 정리

by 사우 2022. 9. 22.
반응형

안녕하세요. 해외 수출 시에 사용되는 컨테이너의 종류와 종류별 제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컨테이너 작업 시 장입 화물의 사이즈와 무게 외에도 체크하여야 할 사항들에 대해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수출용 컨테이너(Container)의 제원 및 작업 시 유의사항 정리

컨테이너 사진

 

1. 수출용 컨테이너 종류 및 제원

 

수출용 컨테이너는 개인이 거래에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며 기업 단위로 사용되는 '수출용 포장함'의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상업송장(인보이스, INVOICE) 작성법 및 요령 / 인보이스 쓰는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해외에 물건(자재) 발송 시에 작성하여 첨부되야하는 상업송장(인보이스, INVOICE) 작성법 및 요령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저도 입사 초기에 인보이스 작성 덕분에 애

tsyk09.tistory.com

수출을 위한 인보이스 작성을 끝내고, Packing list를 작성하였다면 포워더(Forwarder)를 통해 컨테이너 예약(Container Booking)을 진행하여야 합니다.

 

이때, 내가 해외에 발송할 화물의 사이즈와 무게를 바탕으로 화물을 장입 할 컨테이너를 선정하여야 합니다.

 

컨테이너의 종류와 제원은 아래 제원표와 같습니다.

구분 컨테이너 내부(mm) 개구부(컨테이너 입구)(mm) 적재 가능량(kg) 공 중량(kg)
길이(깊이) 높이 높이
20FT 5,898 2,352 2,392 2,340 2,280 21,710 2,290
40FT 12,032 2,352 2,392 2,340 2,280 26,590 3,890
40HQ(HC) 12,032 2,352 2,698 2,340 2,585 26,330 4,150
45FT 13,557 2,352 2,698 2,340 2,585 25,600 4,880

컨테이너 종류별 특징

  • 20FT: 화물의 부피는 작으나 중량이 무거운 경우 주로 사용한다.
  • 40FT: 가장 많이 사용되는 컨테이너이다.
  • 40HQ(HC): 40FT 컨테이너와 비교했을 때, 컨테이너 높이가 높다. 높은 화물이나, 장입이 어려운 화물(철제 바닥) 등을 장입하기 위해 도크(지게차가 컨테이너로 들어갈 수 있는 발판)을 사용할 때 이용된다.
  • 45FT: 가장 큰 컨테이너로, 길이와 폭, 높이 모두 다른 컨테이너에 비해 크고 넓다.

2. 컨테이너 장입 시 유의사항

 

#1. 컨테이너 이동 트레일러 과적

컨테이너 선정에 가장 많은 MISS POINT 중 하나입니다.

 

과적 기준
출처: 경찰청

구분 컨테이너 내부(mm) 개구부(컨테이너 입구)(mm) 적재 가능량(kg) 공 중량(kg)
길이(깊이) 높이 높이
20FT 5,898 2,352 2,392 2,340 2,280 21,710 2,290
40FT 12,032 2,352 2,392 2,340 2,280 26,590 3,890
40HQ(HC) 12,032 2,352 2,698 2,340 2,585 26,330 4,150
45FT 13,557 2,352 2,698 2,340 2,585 25,600 4,880

예를 들어, 제원표를 참고해 40FT 컨테이너에 26 ton의 화물을 실었다고 가정합니다.

 

총중량 = 26 ton(화물) + 4 ton(컨테이너 자체중량) + 14 ton(트레일러트럭 중량) = 44 ton - 과적 대상

 

컨테이너 제원은 국제 통상으로 지정된 제원이기에, 대한민국 도로교통법에는 최댓값으로 적용되어있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부분을 잘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축중량 10 ton 이상도 과적 대상입니다.

트레일러 트럭 사진
출처: SBS뉴스

'축중량'이란 컨테이너 트레일러 '1축 당 받는 하중의 총량'을 뜻 합니다.

컨테이너 내부의 화물이 무거운 물건과 가벼운 물건들이 적절하게 배분되어있다면 축중량 과적을 피할 수 있겠지만, 앞쪽이나 뒤쪽에 몰아서 적재되었다면 축중량 과적에 적발될 수 있습니다.

 

#2. 화물의 포장 바닥 재질 확인

컨테이너 내부 사진
사진과 같이 내부 바닥은 나무

컨테이너는 아무렇게나 포장된 화물이나 장입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컨테이너 내부의 바닥은 '나무'로 되어있어 바닥이 철제나 알루미늄 등 거칠거나 나무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의 장입은 어렵습니다.

 

컨테이너 장입 시, 깊은 컨테이너 내부까지 화물을 '밀어 넣기' 때문에 컨테이너 바닥과의 마찰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같은 나무로 포장된 화물을 장입 하는 게 대부분입니다.(나무 팔레트, 플라스틱 팔레트 등)

 

또한, 컨테이너에 화물을 장입 완료한 뒤, 쇼링(Shoring: 컨테이너 내부의 화물을 고정하는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도 바닥면이 나무로 된 포장을 주로 사용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