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사 이모저모25

본격적으로 다가오는 지구촌 이상기후, 지구온난화는 가속화되고있다. 지구온난화는 먼 이야기라고만 생각했지만, 어느새 가뭄, 홍수 등 피부로 느껴지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지구촌 곳곳에서 가뭄으로 인한 문제들도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지구온난화 현주소와 미래 모습은? 요즘 더운 날씨에 정신을 못 차리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피부로도 느끼게 되는 것 같습니다. 지구온난화의 현주소는 어디이며, 미래 예측은 어떠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지구온난화 tsyk09.tistory.com 일전에 작성했던 지구온난화에 관한 글에 이어, 현시점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에 의해 발생되는 지구촌 이상기후와 지구온난화와의 인과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구촌 이상기후, 지구온난화와의 인과관계 1. 지구촌 이상기후 현상들 #1-1. 중국 최악의 가뭄 먼저 중국입니다. 중국은 현재 기록적인 .. 2022. 8. 21.
2023년 부모급여 시행, 부모급여 금액, 부모급여 신청법 윤석열 대통령 대선 공약 중 하나였던 '부모급여'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부모급여 금액과 부모급여 신청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모급여 금액부터 신청법까지 목차 1. 부모급여란? 2. 부모급여 금액 3. 부모급여 신청법 1. 부모급여란? 부모급여란 20대 대통령 선거 중 윤석열 대통령의 '임신, 육아 정책'중 일부로, 아이 출산 시 1년간 매월 100만 원씩 정액 급여를 지급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2024년부터 지급하기로 공약하였으나, 尹정부의 지지도가 하락하면서 민심을 잡기 위해 일부 공약들을 먼저 시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 부모급여 금액 부모급여 금액은 브리핑 내용과 같습니다. 2023년부터 0세 기준으로 금액을 적용할 예정입니다. 23년 0세 기준 아동.. 2022. 8. 20.
1기 신도시 재정비 시작, 1기 신도시 재건축의 미래는? 尹정부 부동산 공약 중 '1기 신도시 재건축 공약'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별다른 진척 없이 시간이 흘러왔습니다. 국민들의 분노를 산 공약 불이행으로 공약이 재 진행되고 있는데, 1기 신도시 재건축 사업의 미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기 신도시 재정비, 본격적으로 시작되는가? 목차 1. 1기 신도시란? 2. 1기 신도시의 문제점 3. 1기 신도시 재정비 사업의 미래 1. 1기 신도시란? 1기 신도시란 1989년 노태우 정권 때 진행된 부동산 정책으로, 정부에서 폭등하는 부동산 가격의 안정화와 주택난의 해소를 위해 시행한 정책입니다. 1기 신도시는 분당, 일산, 중동, 평촌, 산본으로 총 5개의 도시로 되어있으며 1985년 69%의 주택 보급률이 1991년 74%까지 회복되는 성공적인 정책이었습니.. 2022. 8. 19.
홈플러스 당당치킨 열풍, 당당치킨의 치킨업계 반응과 이유 홈플러스 당당치킨은 한 마리 6,990원이라는 파격적인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는데요, 이에 치킨업계에서는 큰 타격이 된다는 여론이 있습니다. 당당치킨이 치킨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 정도일까요? 홈플러스 당당치킨 열풍, 치킨업계의 반응과 이유는? 목차 1. 당당치킨이란? 2. 당당치킨 출시에 대한 반응 3. 치킨가격은 왜 비싼가? 4. 당당치킨에 대한 생각 1. '당당치킨'이란? '당당치킨'은 홈플러스에서 22년 6월 30일에 출시된 치킨입니다. 가격은 한 마리에 6,990원, 두 마리는 9,990원으로 시중 치킨 가격의 약 1/3 수준의 가격대로 형성되어있습니다. 2010년에 롯데마트에서 출시한 '통큰치킨'의 재림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그때 당시의 치킨 가격은 평균 마리당 13,000원 정도.. 2022. 8. 15.
여성가족부 폐지, 여가부 폐지의 이유와 진행상황 尹정부의 대선 공약 중 하나인 '여성가족부 폐지', 해당 공약의 이유와 현재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성가족부, '여가부 폐지'의 현주소는? 1. '여성가족부'란? 여성가족부의 첫 정식 출범은 2001년 '여성부'의 출범이다. 우리나라 '여성 정책'을 위한 국가기구의 첫 시작은 1988년 정무장관실이 첫 기구이나, 2001년 '여성부'로 국가 부처로 정식 출범하였으며 여성뿐만 아닌, 사회적 취약계층들의 정책을 확대시키며 현재 '여성가족부'라는 명칭이 되었습니다. 여성 및 사회적 취약계층(노약자)들을 위해 제정 및 개선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여성 가족부의 활동 이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성매매 특별법 제정 성매매 여성 재활 호주제 폐지 성범죄자 알림e 음란물 단속(아청법 개정) .. 2022. 8. 7.
尹정부 지지율 20%대 진입, 역대 대통령 지지율과 정권 정책의 차이 정권 교체 이후, 지지율이 28%까지 하락하며 임기 약 2달 만에 집권 이후 최저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역대 대통령의 지지율과 집권 정당의 정책 방향성 차이를 알아보고, 현 정권의 방향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역대 대통령 지지율과 정권 정책의 차이 1. 역대 대통령 지지율 이름 최고 지지율 최저 지지율 득표율 최고 사건 노태우 58% 12% 36% 88올림픽, 공안탄압 김영삼 83% 6% 42% 금융실명제, 외환위기 김대중 71% 24% 40% 정상회담, 빈부격차 심화 노무현 60% 12% 49% 부동산 폭등, 일명'노무현 때리기' 이명박 52% 21% 48% 친서민 정책, 통화 스와프, 최측근 구속 박근혜 60% 4% 51% 사드 배치, 최순실 사태 역대 대통령 지지율의 변화 표 입니다. 최고.. 2022. 7. 31.
728x90